우리들의 이야기

사무라이 (侍 / さむらい)...를 보는 시각

가자 세계로 2009. 12. 22. 10:06

사무라이(侍 / さむらい)의 어원

한자어 士는 한국어로는 선비라 새기고 일본어로는 무인이라고 새긴다 같은 한자어이지만 한국어와 일본어에서는 文과 武라는 대립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는 사대부와 무사의 차이에서 나왔으나 한결같이 전통사회의 지도계급이자 엘리트였다.

 
사무라이의 어원

그럼 일본의 사무라이의 어원과 종류 정신등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본 봉건시대의 무사(武士)는 가까이에서 모신다는 뜻에서 나온 말로, 본래 귀인(貴人)을 가까이에서 모시며 이를 경호하는 사람을 일컬었다.
헤이안조[平安朝:평안조] 이후 무사계급이 발달하여 셋칸케[攝關家(섭관가) :섭정과 관백 벼슬을 하는 가문]와 잉[院:원] 등에서 경호를 위해 무사를 채용하게 되자, 점차 사무라이의 명칭이 무사 일반을 가리키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보통 무사를 사무라이라고 한다.
카게무샤[ 影武者-かげむしゃ]란, 일본의 전국시대에 영주들은 전쟁터에 나갈 때 적을 속이기 위하여 대장이나 주요 인물처럼 자신의 외모를 닮은 가짜자무사를 데리고 나가 위장전술을 사용하였는데, 이 가짜무사를 카게무샤(그림자 무사)라고 불렀다.


가마쿠라시대 - 낭당(郞黨)을 거느리고 기승(騎乘)의 자격이 있는 무사를 일컬었으며, 형벌도 낭당과 일반서민과는 구별되었다.

무로마치[室町]시대 - 대체로 상급무사를 지칭하였다.

에도[江戶]시대 - 사농공상(士農工商)의 네 신분이 고정되어, 그가운데 사(士)에 속하는 자를 일반적으로 이렇게 칭하였다.

그러나 무가사회 내부에서는 보다 엄격하게 이 명칭을 사용하였는데, 막신(幕臣) 중에서는 하타모토(旗本:에도시대 將軍家 직속으로 만석 이하의 무사)를 가리켰으며, 가치[徒]와 주겐[中間:무가의 고용인] 등의 하급무사와는 구별하였고, 제번(諸藩)의 가신 중에서도 주고쇼[中小姓:무사 직위의 하나] 이상의 무사를 이렇게 간주하는 등, 무사 중에서도 비교적 상층계급을 사무라이라고 하였다. 또한 무가(武家)를 주군(主君)으로 섬기지 않는 특수한 사무라이로 궁가(宮家)에 봉사하는 미야사무라이[宮侍], 몬제키[門跡:격이 높은 사원]에 봉사하는 데라사무라이[寺侍] 등이 있었다.

무사가 발생하게 된 배경
가마쿠라막부는 일본 최초로 탄생한 무사정권인데 일본은 오래 전부터 지방자치 형태로 나라를 지배 해왔다.

일본에서 무사 계급의 활약이 가장 왕성했던 시기는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후반에 걸친 전국시대였다 일본의 역사를 보면, 천황이 따로 있지만 지방별로 막부(幕府)라고 하여 지방별로 정부가 있고 그 지방을 통치하는 도노사마(殿樣)또는 영주(領主)가 있었다.

한때 이 막부의 힘이 막강하여 하나의 국가나 다름이 없었다.

막부(幕府)의 영주(領主)는 사무라이(武士)들을 거느리고 나라를 통치했고 영주는 무사에게 제공하는 보수(報酬)로 농지를 주어 농민들을 직접 관리하기도 하였다.

노부시(野武士)는 이런 싸움의 와중에 어느 편에도 소속되어 있지 아니한 무사를 말하며 이들은 떠돌이 생활을 하며 필요할 때 계약직과 같은 형태로 전투에 참여하기도 하고 때로는 농민들을 약탈하기도 한다

무사의 특권
에도(江?)시대 무사에게는 세가지의 특권이 부여되었다.

첫번째로 기리스테고멘(切り捨て御免)이라는 제도로 에도시대에 농민이나 상공인등 양민이 무사에 대해 무례를 했을 때 칼로 목을 쳐 죽여도 죄가 안되었던 제도이다.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베어서 버려도(切り捨て) 벌을 받지 않는다(御免)는 것이다. 무제한으로 허용된 권리는 아니었으며, 死後에 반드시 조사가 뒷따랐으며 정당한 이유없이 양민을 살해한 경우는 처벌되기도 했다.

두번째는 무사에게만 허리에 칼을 찰수 있도록 허락했다.

무사들이 가지고 다니던 칼은 한사람이 패도(큰 칼. 또는 장도), 급발(1자 이상의 중도), 해수도(1자, 즉 22.5cm 정도 길이의 칼) 등 세자루의 칼을 가지는데, 이를 필요에 따라 사용한다. 대전시 크고 작은 칼 두가지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일본식 쌍검을 이도류라고 한다.
그러나 조총이나 활, 창 등을 든 자는 장도 하나만을 휴대했었다.

세번째의 특권은 무사만이 성(姓)을 가질수 있었다.
즉, 무사는 성과 이름을 쓸수 있었고 무사이외의 계층은 이름만 쓸수 있었던 것이다.

일본은 忠의 '사무라이'정신과 할복(切腹―せっぷく 、はらきり)
일본의 경우에는 충과 무를 중시한 무사도로 '사무라이정신'이 통치이념의 이루었다.

일본의 사무라이 정신은 호전족,공격적인 성향으로 흘렀다.
그래서 일본의 무사는 붓대신 칼을 소중히 하고 평상시에도 칼을 차고 다녔기때문에 무사하면 칼을 찬 모습을 떠올리는 상징화되었다.
일본 무사의 충(忠)이란 주군의 은(恩)과 보호(保護)에 대한 대상(代賞)이었는데 무사는 영주(領主)를 위해서 목숨마쳐 싸움을 했고 주군을 위해 충성스러운일이라고 생각하면 상식밖의 행위를 무사도라는 명분으로 거침없이 자행했는데 싸움에서 졌을시 주인에 대한 충성으로 할복(셋뿌쿠 또는 하라키리)을 했었다.

사무라이 정신은 충절(忠節), 희생, 예의(禮儀), 결백, 무용 (武勇), 신의(信義), 질소(質素)등 명예를 중시 했다.
그중 무용은 우격다짐으로 상대를 단순히 이기는 것이 아니라 자기자신에게 이기는 것에 의해서 상대를 이기는 정신적인 구조의 연마도 포함하고 있다.

그럼 왜 하필 배(腹)를 갈랐을까?
무사의 할복은 평안시대 이후 시작됐다고 전해지는데 봉건시대의 무사는 정신이 머무르는 곳을 배(腹)라고 여겨 무사로서의 책임을 지기위해서 죽을 때 할복했던것이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무사가 죽을 때 할복하고 죽는것으로만 알고 있는데 칼로 자기 배를 그어 죽는 것이 아니고 할복의 실패를 막고 참혹한 고통을 빨리 없애기위해 스스로 배를 찌르려할때 뒤에서 동시에 목을 쳐주는 사람이 따로 있었다고 한다.

4명이 있으면 2명이 남은 2명의 목을 치고 살아남은 2명중 또 한명이 한명의 목을 치고 최후에 남은자는 혼자서 할복해 죽어야 했다.
그래서 맨 마지막에 남은 사람이 더 무사적인 충성심이 강한 사람이라고 여겼다는 말도 있다.

할복 장소가 있다!
할복장소가 따로 있었다는 자료가 있다. 히메지성은 1346년 짓기 시작했다고하는데 성의 한쪽 구석에 외부랑 다 차단된 작은 공간이 있었으며 그곳이 바로 할복장소이었다.

아예 할복장소라고 이름이 붙어 있는데 일본 사무라이들은 일단 패해서 구차하게 목숨을 부지하는 것을 치욕으로 생각하고 차라리 할복을 하면 높이 칭송을 하는 분위기였다고 한다.

이런 일본 무사의 충의와 신의를 상징하는 것이 할복이 됐으며 현재 일본의 조직폭력배 야쿠자들도 무사도 충의와 신의의 덕을 강조하며 충을 표시하는 단지(指つめ : 손가락을 자르는 관습)를 행하고 있다.

일본의 가장 큰 조직은 야마구치구미(山口組 - 조직원 19,000명), 스미요시가이(住吉會 - 조직원 6,700명), 이나가와가이(稻川會 - 조직원 5,650명) 등 3대 광역조직으로 이들 3대 조직을 3대 집안이라는 의미의 '고산케(御三家)'라 부르는데 자신들의 시조를 무사 조베이라는 인물로 정하고 무사도의 충성과 신의의를 야쿠자의 충성과 신의로 정당성을 명분화하고 있다.


사무라이와 관계된 영화
사무라이적인 느낌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차가움, 잔혹함, 진중함 또는 사나이다움과 같은 류의 느낌일텐데, 어쩌면 그것은 우리의 편견일수도 있다.
영화 사무라이 픽션에 등장하는 사무라이들은 그 느낌이 사뭇 다르게 그려지고 있다.

일본무사 사무라이를 그린 영화들을 보면서 일본무사에 대해서 우리가 알고 있는 편견과 현실을 비교하며 감상하는 것도 색다른 맛일것이다.

「사무라이 픽션」
감독 : 나카노 히로유키
출연 : 카자마 모리오, 후키코시 미츠루, 호테이 토모야스, 오가와 타마키

「7인의 사무라이」
감독 : 구로사와 아키라
주연 : 사무라 타카시, 도시로 미후네, 이나마 요시오
베니스영화제 은사자상

「카게무샤(Kagemusha)」
감독 : 구로자와 아키라
주연 : 나카다이 타츠야, 야마타키 쓰토무, 하기와라 켄이치

「무사 (Shogun's Shadow)」
감 독 : 후루하타 야스오
출 연 : 오다 유지 / 오가타 켄 / 소니 치바(치바 신이치)

「무사 쥬베이」 감독 : 가와지리 요시야키 감독의 작품으로, 원제는 '수병위인풍첩'인 애니메이션 영화

 

 

 

 

 

 

 

 

 

 

 

(출처:고재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