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홍콩 도시정보

가자 세계로 2007. 11. 2. 01:13
공항에서 시내로 이동

1.에어포트익스프레스와 셔틀버스이용 (Airport Express Line; AEL)
도착층의 트레인탑승 , 06:00 ~01:00 사이 10 분간격운행
공항 ~ 칭이역 (12 분소요 , HK$50), 공항 ~ 주룽역 (19 분소요 , 당일왕복권 HK$90, 한달왕복권 HK$160),
공항 ~ 홍콩역 (23 분소요 , 당일왕복권 HK$100, 한달왕복권 HK$180 )
주룽역과 홍콩역도착 후 호텔순환 셔틀버스를 이용 ( 06:00 ~ 23:00 , 20 분간격운행 )
TIP: 2 일 이상 홍콩을 여행하시는 분은 반드시 한달왕복권 을 구입하세요 .. 저렴 ^^ www.mtr.com.hk

2. 에어버스
도착층의 출구 오른편에 공항버스터미널위치 , 주룽과 홍콩섬의 주요호텔로 이동
노선번호에 A 가 붙은경우 06:00 ~ 24:00 , 15 분간격운행 , N 가 붙은경우 심야버스 30 분간격운행

3. 택시
도착층의 출구 왼쪽편에 택시승강장 위치
빨간색 택시 ( 주룽 , 홍콩섬 ), 녹색 택시 ( 신계지역 ), 파란색택시 ( 란터우 섬 )
미터제 , 운임요금 ( 공항 ~ 침사추이 , HK$270, 공항 ~ 완차이 , HK$325, 공항 ~ 센트럴 , HK$330)

 
 
☞여행자 하루 지하철 패스 (Tourist MTR 1-Day Pass)
하루동안 지하철을 무제한이용가능 , 지하철역에서 구입가능 , 보증금 50HK$

☞ 옥토퍼스카드 (Octopus)
우리나라의 교통카드와 비슷한 개념의 '옥토퍼스'카드는 갖다 대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요금이 결제되는 편리한 카드이다.
지하철과 버스 , 전차 , 미니버스 , 스타페리의 교통편과 편의점에서의 물건구입가능 .
150HK$ 의 성인용 , 100HK$ 의 청소년용 , 70HK$ 의 어린이 용 ( 보증금 50HK$ 포함 ).
지하철의 ‘Add Value' 기계에서 잔액확인가능 , 1,000HK$ 까지 충전가능

옥토퍼스 카드는 공항 출국장 A 와 B 중간의 익스프레스 창구에서 구입할 수 있다.

☞ 공항 고속전철 옥토퍼스 3일패스 (Airport Express Tourist Octopus "3Day Hong Kong Transport Pass")
홍콩을 오는 분들이 대부분 3일을 잡고 입국하는 분들이 많아 공항고속 전철과 일반 대중교통편을 사용할 수 있는 패스로 두 가지 종류로 구성되어 원하는 것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HK$300패스 : 공항고속전철 (편도 2회) + 3일 무제한 지하철 탑승 + HK$20 상당의 대중교통 탑승
HK$220패스 : 공항고속전철 (편도 1회) + 3일 무제한 지하철 탑승 + HK$20 상당의 대중교통 탑승


☞홍콩의 교통편

1.MTR(Mass Transit Railway)
아일랜드 라인 ( 청색 ): 홍콩섬 북서부의 성완 ~ 북동부의 차이완까지 홍콩의 핵심지역운행
첸완라인 ( 적색 ): 홍콩섬의 센트럴 ~ 주룽의 침사추이를 통과하여 신계의 첸완까지 운행
콴탕라인 ( 녹색 ): 주룽의 야우마테이 ~ 홍콩섬의 쿼리베이로 운행
탕춘라인 ( 오렌지색 ): 홍콩섬의 중심지 홍콩역과 주룽지역을 지나서 란터우섬의 텅춘까지 운행
티켓구입방법 : 자동판매기에서 구입가능 , 목적지선택 -> 동전으로 요금투입 -> 티켓나옴
운행시간 : 06:00 ~01:00 사이 , 5 분간격으로 운행 ,
요금 : HK$4~13( 침사추이 ~ 애드마이얼티구간 하버터널통과 / 비싼편 HK$9)}


2. 스타페리
주룽반도의 중심지인 침사츄이와 홍콩섬의 중심지인 센트럴과 완차이를 연결
침사츄이승선장 : 침사츄이의 Nathan Rd 를 지나 홍콩섬이 보이는 Salisburry Rd 서쪽에 위치 ( 페닌슐라 호텔을 등지고 , 오른쪽 으로 도보 10 분거리 )
운행시간 : 침사츄이 ~ 센트럴 ( 06:30 ~ 23:30 , 10 분간격 ), 침사츄이 ~ 완차이 ( 07:30 ~ 22:50 , 20 분간격 ),요금 : 1 등석 HK$2.2, 2 등석 HK$1.7


3. 버스
주룽버스 ( 주룽방면운행 ), 퍼스트버스 + 시티버스 ( 홍콩섬을 운행 ), 초보자가 이용하기 부적합 , 앞승차와 뒤하차 , 거리환산요금제 , 잔돈을 준비하여 운전사옆의 요금통에 동전을 넣자 .
주의 : 버스이용 시 잔돈은 항상 넉넉하게 분비하세요 , 잔돈을 거슬러 주지 않습니다 .


4. 택시
신계와 란터우 섬이외의 홍콩지역에서는 빨간색택시가 운행

 
 
지리적으로 크게 홍콩섬과 이를 마주하고 중국본토와 연결되는 구룡반도, 구룡반도 북쪽의 신계지, 주변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홍콩은 계절에 구애를 받지 않는 전천후 여행지나 , 특히 선선한 기후를 보이는 9 월 중순부터 2 월말까지 여행하기 가장 좋은 시기이다 . 아무리 여름이라도 건물이나 굥통편내에 에어컨시설이 잘되어 있어 얇은 긴팔은 항상 걸치고 다녀야 한다 .
3 월 ~5 월 중순 ( 봄 ) 비가자주오거나 안개가 자주 생김 , 실질 체감온도가 낮아지므로 점퍼를 착용
5 월 하순 ~9 월 중순 ( 여름 ) 무덥고 습하며 , 폭풍우가쳐서 여행자가 줄어드는 시기 , 주의경보가 발행하면 대중교통편이 중단되고 회사와 레스토랑 , 상점이 문을 닫음 , 건물내는 냉방을 하므로 긴옷을 준비
9 월 하순 ~12 월 상순 ( 가을 ) 비가 자주 내리지 않고 날씨가 좋아 여행하기 좋은 계절임
12 월 중순 ~2 월 하순 ( 겨울 ) 비가자주오며 날씨가 싸늘하여 두꺼운 점퍼를 준비하는 것이 좋음
 
 
홍콩에서 통용되는 통화는 홍콩달러 (HK$)로서, 1HK$는 한화 약 135원 정도이다.

홍콩달러 (HK$) / 1HK$ = 100Cent
동전 : 10 센트 , 20 센트 , 50 센트의 청동색 / HK$1, 2, 5 의 은색
지폐 : HK$10, 20, 100, 500, 1000
1HK$ = 약 135 원 (2005 년 12 월 현재 )
환율은 미국달러 1달러당 약 7.8HK$로 고정되어 있으며 은행과 호텔, 거리의 환전소에서 어렵지 않게 환전할 수 있다.
홍콩의 경우 외국인이 소지할 수 있는 금액에 제한이 없다.
 
 
공식어 : 중국어 ( 광동어가 (Cantonese)/ 북경어 (Mandarin)) 와 영어
관광 및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영어를 사용
재래시장이나 현지민을 상대로 하는 음식점은 영어가 원활하게 통용되지는 않음

 
 
여행자 비자없음

한국인의 경우 90일 (3달)간 체류할 경우에는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다.
그이상 체류할 목적이라면 중국 대사관에서 비자를 발급 받은 후 입국해야 한다. 그러나 마카오를 갔다가 홍콩으로 재입국하면 90일 무비자 체류가 다시 가능해진다.
입국 절차는 간단하다. 여권과 홍콩 입국 신고서를 제출하면 별다른 질문없이 입국을 허가한다.

주한 중국 대사관 (02)771 3726
 
 
한국보다 1시간이 느려서, 한국이 오후 2시 면 홍콩은 오후 1시
 
 
☞ 전기 200/220 볼트로 한국에서 사용하는 콘센트가 큰 무리없이 사용되며, 종종 구멍이 세 개인 콘센트가 있으나 사용 가능하다.
☞ 호텔에서 콘센트 대여가 가능
☞ 호텔에선 외선번호를 누른 후 사용 , 전화요금 외의 별도의 수수료부과
☞ 공중전화 : 동전 , 전화카드 , 신용카드의 3 가지 종류로 분류 / 전화카드 일반 편의점에서 구입
☞ 한국 -> 홍콩 : (001, 002, 00700 등 )+852( 홍콩코드 )+ 지역번호 + 전화번호
☞방콕 -> 한국 : 001+82+0 제외 지역번호 + 전화번호
☞수신자부담 :
한국통신 : 800-96-0802,
데이콤 : 800-96-0083,
온세통신 : 80 0-93-0082)

오후 9시부터 익일 오전 8시까지는 전화 요금이 조금 저렴하다.
 
 
은행 , 사설환전소 많음
ATM 이용편리 / Cirrus 와 Plus 의 현금서비스용이
 
 

 

 

 

 

 

 

 

 

 

--------------------------------------------------------------------------

우리 "가자일본!" 카페는 정부기관인 

 

  대구 소상공인지원센터

  ▶ 대전 소상공인지원센터

  ▶ 울산 소상공인지원센터

  ▶ 평택 소상공인지원센터

  구미 소상공인지원센터

  ▶ 부산남부 소상공인지원센터 

  ▶ 부산광역시 여성센터부설 여성창업지원센터

 

 후원으로   "창업 & 일본무역 정규연수"를 공동 실시하고 있습니다.

 

소상공인지원센터

Small Business Development Center  

,소무역,소호무역,무역,일본무역,보따리,일본보따리,창업,일본창업소무역,소호무역,무역,일본무역,보따리,일본보따리,창업,일본창업,

소무역,소호무역,무역,일본무역,보따리,일본보따리,창업,일본창업,소무역,소호무역,무역,일본무역,보따리,일본보따리,창업,일본창업,